투블럭 커트는... |
안녕하세요. 다니엘입니다. 오늘은 투블럭에 대해서 말하려고 합니다. 아직도 많은 남자들은 투블럭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저도 투블럭 머리인데요. 저 같은 경우는 두상이 앞뒤로 눌린 편이라서 가로 폭(옆머리)의 양감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투블럭 머리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가끔 디자이너가 보기에 투블럭이 어울리는 두상인데도 불구하고 예전의 평범한 헤어스타일로 돌아가려는 분이 있습니다.
그 이유를 물어보면 투블럭 커트 당시에 망했다는 트라우마가 있었기 때문 이였습니다.
보통 옆머리를 3~6 mm로 자르고 윗머리도 짧고 가벼운 스타일로 자르게 되면 소위 말하는 파인애플머리가 되어 버립니다.
모질이 두꺼운 동양인 머리는 파인애플머리가 되기 쉽습니다.
간혹 뿌리방향이 두상에서 수직으로 서는 분이 있는데요. 이런 분은 머리를 길게 잘라도 파인애플머리의 재앙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
옆머리가 심하게 뜬다면 디자이너에게 미리 귀띔해주자 |
옆머리에 그림입니다. 디자이너가 알아서 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 누구는 이렇게 말할지 모릅니다.
흰머리가 정상적인 모류방향이라고 할 때 검은 머리는 옆머리가 잘 뜰 수밖에 없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
모류방향을 알 수가 없다 |
실제 두피 모공보다 큰 녹색 박스를 보게 되면 모공모양으로 모류방향을 알 수가 없습니다. (위에 모공 잘 뜨는 모류, 밑에 모공 정상 모류) 즉 고객 스스로가 눌러서 스타일링 한 머리를 샴푸를 하고 다 말려봤을 때에 고객의 모류방향을 제대로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고객님이 옆머리가 심하게 뜬다고 디자이너에게 미리 알려주는 것이고요.
헤어 디자이너는 처음방문하신 고객님은 샴푸를 먼저하고 드라이 한 후에 커트에 들어가는 것이 안전하다고 하겠습니다. |
투블럭과 얼굴형 |
어떤 디자이너는 긴 얼굴도 투블럭을 하라고 권하기도 합니다. 제가 이제까지 많은 남자고객을 커트하면서 느낀 것은 비율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아름다움은 균형 잡힌 비율에서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서양인처럼 이목구비가 뚜렷하지 않는 동양인은 예로부터 얼굴선의 미를 따져왔습니다. 그중에 계란형을 가장 선호하고 있고요.
따라서 얼굴선이 계란형처럼 보이게끔 헤어를 연출하는 것을 미의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
투블럭이 어울리는 얼굴형 |
1. 둥근 얼굴형 2. 역삼각 얼굴형 이외 옆통수가 나온 경우 |
투블럭이 어울리지 않은 얼굴형 |
1. 긴 얼굴형 2. 삼각형 이외 사각턱 |
둥근 얼굴형 |
둥근 얼굴형은 가로 폭을 줄여주는 투블럭이 잘 어울립니다. 그러나 구레나룻 형태를 샤프하게 만들어 주어 얼굴이 갸름해 보이게 해주어야 합니다.
또 윗머리 실루엣이 둥근 형태보다는 각진 형태가 어울립니다. |
역삼각 얼굴형 |
역삼각형 얼굴은 옆머리 볼륨이 있으면 두상이 항아리 형태처럼 보여 두상이 커 보이기 때문에 옆머리 볼륨을 크게 줄여주는 투블럭이 잘 어울립니다. 둥근형과 다르게 윗머리 실루엣이 둥근 형태가 어울리며 구레나룻이 최소한 광대뼈 아랫부분까지 내려와야 합니다.(구레나룻이 있어야 광대 노출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윗머리 실루엣이 사각 형태일 경우 강한 인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둥근형태가 어울리나 턱 선이 브이라인이기 때문에 사각형 실루엣도 어느 정도 커버는 가능합니다. |
긴 얼굴형 |
긴 얼굴형은 계란형에 비해 세로 비율수치가 높습니다. 여기서 투블럭은 가로 폭을 크게 줄여주기 때문에 피해야할 헤어스타일입니다. 구레나룻을 살려서 커트한다고 해도 비율적인 문제는 없어지지 않습니다. 첫 번째 그림은 모히칸 커트로 오히려 세로 폭을 길게 만들어서 그렇지 않아도 긴 얼굴을 더 길게 만들었습니다.
두 번째 그림은 일반모일 경우 댄디 커트한 머리입니다. 직모나 강모 같은 경우는 다운 펌을 한 머리로 옆머리는 뿌리에 최대한 근접하게 윗머리도 볼륨을 다운 시킨 머리입니다.
세 번째 그림은 긴 얼굴에 투블럭을 한 실루엣입니다. |
사각턱 삼각형 얼굴형 |
사각턱 삼각형 얼굴은 턱이 발달한 형태로 옆머리 볼륨을 살려주어야 하는데 오히려 옆머리 볼륨을 죽이는 투블럭을 피해야 합니다.
그러나 두상이 큰 경우는 소프트 모이칸 커트로 시선을 위로 향하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